JSP

[웹프로그래밍 기초와 실전] 1. 자바와 웹프로그래밍

직장인쏠트 2019. 5. 5. 21:59

1. 웹어플리케이션 주소

 

*URL : Uniform Resource Locator

 

[프로토콜] : // [호스트][:포트][경로][파일명][.확장자][쿼리문자열]

 

[프로토콜] http나 ftp 컴퓨터 서로 다른 기종 컴퓨터와 자료 주고 받기 위한 규약

[호스트] 호스트명 cafe.daum.net ip 211.110.11.1

[:포트] 각 서버의 고유번호

[쿼리 문자열] 파라미터라 부르는 데이터를 웹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때 사용

?이름1=값1&이름2=값2&

 

 

 

2. 서블릿과 JSP

 

1) JSP 란 무엇인가? 자바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크립트 언어, 자바가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.

  • 요청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컴파일된 서블릿 인스턴스가 메모리에 한번만 생성되며 이후의 요청에 대해 기존의 인스턴스에서 요청을 처리한다.
  • HTTP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한다.
  • 스크립트 요소와 액션 태그 등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쉽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

2) Servlet :  자바언어를 개발한 Sun Microsystem에서 웹기반을 위해 만든 표준인 서블릿

자바코드 작성 -> 코드를 컴파일 -> 클래스파일

실행코드 방식이여서 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JSP를 개발함.

 

 

3. 웹컨테이너

 

JSP와 서블릿을 실행시켜주기 위한 것. 종류로는 톰캣이 있다.

웹컨테이너 = 서블릿 컨테이너 + JSP 컨테이너

 

  • 서블릿 컨테이너: 클라이언트 요청에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요청을 처리할 스레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버측의 자바 프로그램
  • JSP 컨테이너: JSP 파이에 대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해당 파일에 대한 자바 원시 코드를 생성, 컴파일하고 이를 통하여 자바의 객체를 생성하는 일을 하는 자바프로그램